탑재 위성 13기를 모두 안정적으로 목표 궤도에 올려 놓으면서 누리호의 임무 수행 능력도 다시 입증됐습니다. 우리가 만든 발사체로 위성을 우주로 보내는 '우주 배송' 시대가 가까워졌습니다. 누리호 발사 12분 21초 뒤.
깜깜한 밤, 추운 날씨에도 전남 고흥은 누리호 발사 순간을 직접 보려는 인파로 북적였습니다. 누리호에 실린 위성을 개발한 연구진들도 날아오르는 발사체를 보며 벅찬 감정을 억누르지 못했습니다. 윤태인 기자가 현장의 모습을 ...
한국형발사체 누리호가 4차 발사에 성공했습니다. 과거 발사와 달리 민간기업 총괄로 누리호를 제작한 4차 발사에 성공하면서, 민간 중심의 우주개발을 뜻하는 뉴스페이스 시대에 진입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는데요. 이번 발사의 ...
4차 발사에 성공한 누리호에 실려 우주로 올라간 주탑재위성, 차세대중형위성 3호가 수차례 추가 교신에 성공했습니다. 우주항공청은 차세대중형위성 3호가 목표 궤도에 성공적으로 안착한 뒤, 새벽 1시 55분 남극세종기지 지상국과 ...
순수 우리 기술로 만든 대한민국의 우주 발사체, 누리호가 네 번째 발사에 성공했습니다. 처음으로 밤에 발사된 누리호는 예상했던 시간보다 3분 짧은 18분 25초 동안 비행했습니다. 엔진 성능이 향상되면서 시간이 단축됐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누리호 4차 발사 성공을 진심으로 축하한다며, 가슴이 벅차오른다고 밝혔습니다. 이 대통령은 오늘(27일) SNS에 멈출 줄 모르는 혁신으로 대한민국의 우주 시대를 열어가고 있는 여러분이 참 자랑스럽다며 이같이 ...
그러면 오늘 새벽 마지막까지 발사 현장을 지킨 관계자와 함께 이번 발사의 의미, 짚어보겠습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김진혁 선임연구원 전화 연결돼 있습니다. 안녕하십니까. [김진혁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발사체엔진팀 선임연구원] ...
이번 누리호 발사 성공은 기술 자립도를 높였다는 성과를 넘어, 한국형 우주 산업 생태계를 열었다는 데 의미가 큽니다. 이번에 민간으로 이전된 발사체 기술이 꽃피우면 '한국판 스페이스X'도 그저 꿈이 아닐 겁니다. 모두 우리 ...
누리호 4차 발사가 성공한 가운데, 정부가 2027년까지 누리호를 두 차례 더 발사하고, 이후에는 매년 1회 이상 발사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우주항공청은 이번 발사 경험을 토대로 더 큰 무게를 실을 수 있는 차세대발사체 ...
정부가 오는 2027년까지 레벨4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목표로 대규모 실증 기반 구축과 규제 합리화에 나섭니다. 국토교통부는 오늘(26일) 기획재정부 주재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이런 내용의 '자율주행차 산업경쟁력 제고 ...
누리호의 성공적인 발사를 위해선 '엄빌리칼' 타워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발사 직전까지 누리호에 생명력을 공급하게 되는데, 구체적인 역할을 김은별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누리호 옆에는 녹색의 거대한 구조물, '엄빌리칼 타워'가 ...
이번 4차 발사는 과거와 달리 민관 합동으로 발사가 진행된다는 점이 큰 의미가 있습니다. 민간 체계종합기업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항공우주연구원의 지원을 받아 누리호 제작 전 과정을 주관했는데요. 강병덕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팀장 ...